728x90
반응형
REST API
- 기계와 기계가 규격화된 방식으로 인터넷 또는 웹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있도록 돕는 통신 규칙이다.
- REST API는 웹의 규격인 HTTP를 이용한다.
API
-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.
REST API도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라고 할 수 있다. 그러나 REST API는 내컴퓨터가 아닌, 남의 컴퓨터를 실행시킨다.
- 나의 앱이 www.googleapis.com/.../calendars/calendar_id의 의 주소로 접속하면 구글 캘린더에 등록되어 있는 나의 캘린더를 구글 캘린더에서 출력해준다. 또한 글도 가져올 수 있다. 가져오는것 뿐만 아니라 내용을 추가하고 수정하고 삭제하는것도 가능하다.
- 이렇게 인터넷과 웹을 통해서 나의 컴퓨터를 제어할 때 어떻게 하면 시행착오를 줄이고 더 좋은 API를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 REST API이다.
REST API는 특정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.
HTTP를 이용해서 기계들이 통신을 할 때 HTTP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모범사례라 할 수 있다.
만약 게시판의 글같은 데이터를 REST API에서는 Resource라고 부른다.
Resource를 REST API로 표현하면 URI를 통해서 표현된다.(ex) http://example.com/topics) - 컬렉션
컬렉션은 복수형을 사용한다.
한건 한건의 데이터를 Element라고 한다. -> http://example.com/topics/1
즉, 컬렉션은 엘리먼트들이 모여있는것이다. | 컬렉션의 하나 하나의 데이터를 Element
URI는 단지 그 정보를 식별하는 이름일 뿐이다.
정보에 대한 가공방법은 4가지이다.(CRUD) - method
REST API는 웹의 통신 규약인 HTTP를 이용하기 때문에 HTTP가 가진 method를 이용한다.
- Create - post(생성)
- Read - get(읽기)
- Update- put | patch(수정)
- Delete - delete(삭제)
웹 브라우저 or 다른 웹 서버 or 모바일웹에서 REST API를 이용해서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영상 후기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📍인비의 DTO vs VO (0) | 2023.04.24 |
---|---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🎡토니의 인증과 인가 (0) | 2023.04.20 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차리의 Stream (0) | 2023.03.17 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🙆♀️티버의 API vs Library vs Framework (0) | 2023.03.16 |
영상 후기 - 변수와 객체와 메모리의 관계! 자바를 예로 들어 변수와 객체는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정말 쉽게 설명해요! (0) | 2023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