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. HTTP vs HTTPS
HTTP(Hypertext Tranfer Protocal)
-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
-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함.
-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진다.
HTTPS(Hypertext Transfer Protocal Secure)
- SSL(보안 소켓 계층) 사용
-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, 서버와 브라우저가 민감한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해당 정보가 도난당하는 것을 막아줌.
- HTTPS는 HTTP 자체를 암호화하는 것이 아니다. HTTP Message Body를 암호화한다. HTTP Header는 암호화 하지 않는다.
HTTPS를 사용해야하는 이유
- 보안성
- SEO(검색 엔진 최적화)
2. SSL/TLS
SSL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TLS이다.
SSL(Secure Sockets Layer)
-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에서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간의 보안을 위해 만든 프로토콜
- 공개키/개인키 대칭키 기반으로 사용함
대칭키
- 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법
- 암호화 복호화가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.
공개키(비대칭키)
- 서로 다른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법
SSL은 서버와 브라우저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공격자로부터 보안하기 위해서 필요하다.
728x90
반응형
'영상 후기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🐰 멍토의 Blocking vs Non-Blocking, Sync vs Async (0) | 2023.04.06 |
---|---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🧲코일의 Web Socket (0) | 2023.04.04 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헌치, 써머의 HTTP (0) | 2023.03.17 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🎧 삭정의 Web 요청 & 응답과정 (0) | 2023.03.17 |
영상 후기 - [10분 테코톡] 👩🦰희봉의 웹서버 vs WAS (0) | 2023.03.15 |